성폭력 홈 / 피해여성가이드 / 성폭력

사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력에 의한 추행이나 기습추행이 대표적입니다. 위력에 의한 추행은 추행의 과정에서 상하관계나 위력 등에 기초하여 의사에 반하는 행위가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기습추행은 행위의 기습성이 폭행이나 협박이라는 수단을 대체한 경우입니다.

성폭력은 일반적으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불균형한 권력 관계에서 비롯됩니다. 모든 사람은 타인에게 폭력 피해를 입히지 않는 방식으로 욕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래야만 합니다. 성폭력의 원인을 남성의 충동적 성욕 때문이라고 하는 편견이 있는데, 이는 남성의 성욕을 과장하고 관대하게 받아들이는 사회 분위기 안에서 가해자에게 정당성을 부여할 뿐입니다.

성폭력은 실제로 노출이 많은 옷을 입게 되는 여름이나 늦은 밤에 특별히 더 많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젊은 여성들에게만 일어나는 피해가 아닙니다. 이러한 통념은 성폭력의 책임을 피해자에게 묻는 2차 가해입니다. 성폭력의 원인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권력 관계, 사회 내 성규범과 같은 사회적 문제로 고민해야합니다.

목욕을 하지 않은 상태로 가능한 한 72시간 내로 해바라기센터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검사를 통해 법적인 증거물을 채취하고, 그 외 피해장소에서 가해자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물을 확보하거나 다친 부위의 사진을 찍고, 관련기록을 해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피해당시 입었던 옷 등은 종이봉투에 보관합니다. 그리고 112 또는 경찰에 신고하고, 성폭력전문 상담기관의 도움을 받습니다. 이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주위사람이나 지인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피해장소에서 가해자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 확보‧진단서‧의학적 증거 채취 등이 있고, 직접 확보 사진을 촬영해 놓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목격자가 있다면 즉시 목격자로부터 사실 확인서를 받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실을 기재하게 하고(대필로 가능) 자필 또는 무인이나 날인을 받아야 합니다. 피해 후 가해자와 대화한 내용을 녹음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성폭력 전문상담기관 및 해바라기센터를 통해 상담, 의료, 법률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사와 재판과정에서 전담 조사제 및 전담재판부 구성과 국선변호사 선정, 여성경찰관에 의한 조사, 심리의 비공개, 신변안전조치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