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홈 / 피해여성가이드 / 가정폭력

가정폭력이란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및 기타 동거가족을 포함한 가족구성원 중의 한사람이 다른 구성원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 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이다.
법에서 정의하는 가정폭력이란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가정폭력의 특징

가정폭력과 일반폭력과의 차이

부부나 커플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은 ‘가족이 아닌 지인 혹은 모르는 사람에게 당하는 일반폭력’과는 다른 맥락에서 해석된다.
  • 피해자 비난
    가정폭력에 대해서는 피해자의 잘못이 선행되어 폭력이 발생하였다는 피해자 유발론, 피해자 문제론 등이 제시
  • 폭력의 은폐성과 치명성
    가정폭력은 사적 영역의 특수성을 가지며, 가족 밖에서 발생하는 폭력보다 더 위험하고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 경찰 개입의 어려움
    가정폭력은 사적 영역의 문제, 개인문제로 치부되며 공적 영역의 개입이 어렵거나 사회적으로 묵인되기도 한다.
  • 가족 분리의 어려움
    가족은 폭력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일상의 공간을 공유하며 가해자를 피하거나 안전한 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 (가해자와 피해자 분리의 어려움)
  • 목격자 확보의 어려움
    가정폭력은 사적영역에서 은밀하게 발생하여 목격자 확보가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는 진료기록서, 사진, 개인적 기록 등을 이용하여 폭력의 증거를 수집하기도 한다.
  • 폭력의 반복성, 지속성
    일반폭력이 일시성을 가지는 것에 반해 가정폭력은 반복되고 지속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폭력의 강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진다.
  • 폭력의 중복성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의 발생은 가정폭력 자녀노출, 아동학대, 부모폭력, 학교폭력 등과 중복 발생하는 특성을 보인다.
  • 폭력의 세대 간 전이
    가정폭력은 학습되며 세대 간에 대물림되는 특성을 보인다. 가정폭력에 노출된 자녀들은 이후에 가정폭력의 가/피해자로 성장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관련법률

  • 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약칭 : 가정폭력처벌법)
  • 가정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약칭 : 가정폭력방지법)
  • 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 형법, 민법, 가사소송법 등

아동 학대 범죄인 경우 아동 학대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성범죄인 경우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이 특별법으로 우선 적용됨.
출처 :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가정폭력 처리절차


출처 : 한국여성인권진흥원